
500억 대작 '북극성', 전지현X강동원 비주얼만으론 역부족…'서사' 없는 초라한 퇴장
배우 전지현과 강동원이라는 이름만으로도 흥행을 예감케 했던 디즈니플러스의 야심작 ‘북극성’이 시청자들의 외면 속에 쓸쓸히 종영했다.
총 제작비 500억 원이 투입된 이 작품은 시작부터 배우들의 역대급 캐스팅과 남북한을 둘러싼 첩보 액션이라는 거대한 스케일로 큰 기대를 모았다. 마지막 회까지 화려한 영상미와 두 주연 배우의 비주얼 케미스트리는 빛을 발했지만, 정작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할 서사의 힘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구체적으로 시청자들은 주인공들의 불친절한 감정선과 전문가 캐릭터의 부족한 설득력, 그리고 우연에 기댄 위기 발생 및 해결 방식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전지현(문주 역)과 강동원(산호 역)의 애틋한 관계는 서로에게 빠져드는 결정적인 계기나 충분한 감정적 교류 없이 몇 번의 스침과 짧은 대화만으로 급하게 형성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시청자들은 두 사람이 왜 서로에게 깊이 빠져드는지 공감할 시간을 갖지 못하고 연출이 만들어 놓은 분위기에 휩쓸려야 했다.
또한, 국제 정세를 꿰뚫는 외교관 문주와 전설적인 특수요원 산호라는 캐릭터 설정과는 달리, 극중 행동은 전문가답지 못했다. 문주는 중요한 협상에서 감정적인 판단을 쉽게 내렸고, 산호는 철두철미해야 할 작전 중 개인적인 감정으로 돌발 행동을 하며 위기를 자초하는 모습은 캐릭터의 개연성을 떨어뜨렸다.
더불어 긴장감을 높여야 할 위기 상황들이 비밀 통로를 통한 우연한 탈출이나 결정적 증거의 손쉬운 발견 등으로 너무 쉽게 해결되는 전개는 첩보물 특유의 팽팽한 긴장감을 해치고, 주인공이 쉽게 위기를 극복할 것이라는 예측 가능성을 높였다.
결국 ‘북극성’은 전지현과 강동원의 ‘보는 맛’만으로는 헐거운 서사를 상쇄하기에 역부족이었다. ‘올해 최고 기대작’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마지막 회 공개 직전 화제성 순위 4위까지 밀려나는 굴욕을 맛봐야 했다.
‘북극성’의 쓸쓸한 퇴장은 K-콘텐츠 시장에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아무리 화려한 스타와 막대한 자본을 투입해도, 시청자들이 이야기에 깊이 몰입할 수 있도록 탄탄한 ‘개연성’이라는 뼈대가 없다면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는 현실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네티즌들은 '역시 전지현, 강동원 비주얼 합은 최고였는데 스토리가 너무 아쉽다', '500억을 어디에 쓴 건지... 돈으로 해결 안 되는 게 있구나', '중반 이후로는 그냥 하차했다. 내용이 너무 없었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스토리 전개의 아쉬움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