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영화 '중간계' 권한슬 크리에이터 "AI는 인간 창조물, 지배는 못해"
인류가 AI라는 거대한 변화의 물결 앞에 서 있다. AI가 가져올 풍요에 대한 기대와 양극화 심화에 대한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AI를 통제하는 인간이 될 것인지, AI에 잠식되는 인간이 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고민에 도전장을 내민 인물이 있다. 영화학도 출신 AI 크리에이터 권한슬 대표는 두바이 국제 AI 영화제에서 대상과 관객상을 수상한 AI 단편영화 연출자로, AI 스타트업을 이끌고 있다.
권 대표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AI 시대에 인간 고유의 탁월한 능력이 없다면 AI는 불필요한 존재가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날카로운 감각을 지닌 인간만이 비로소 완성도 높은 예술 작품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결국 AI는 인간이 창조한 문화 안에서 새로운 창조물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AI는 레퍼런스를 참고하고 사람의 창작 방식을 활용해 새 창작물을 만들지만, 아무리 기술이 좋아져도 인간의 정확한 선택과 결정 없이는 완벽한 창작물이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이러한 점에서 영화 '중간계'는 AI 기술의 가능성과 인간의 역할을 보여준다. 특히 염라대왕이 변신해 인간을 공격하는 장면은 압도적인 스펙터클을 자랑한다. 일반적으로 엄청난 후반 작업 비용이 예상되지만, AI를 활용하여 제작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었다. 배우 개런티를 포함한 순제작비는 6억 원에 불과하다.
권 대표는 "AI는 결코 값싼 기술이 아니다. 다만 새로운 실험이라는 점에서 매우 낮은 인건비로 희생한 측면이 있다. CG와 동일한 시간과 비용이 주어졌다면 훨씬 더 좋은 퀄리티의 작품이 탄생했을 것"이라며 "수천 가지 영상 중 좋은 부분만 발췌해 영상화했다. 원본 영상은 팔이 잘리는 등 엉뚱한 결과물이 나오기도 하지만, 그중에서 좋은 것만 추려냈다"고 설명했다.
AI 기술은 6개월마다 상전벽해와 같은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나야, 문희'를 제작할 때와 '중간계'를 제작할 시점은 비교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이며, '중간계'를 시작할 때와 홍보 시점 사이의 6개월에도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실제로 '나야, 문희'에서는 AI 영상이라는 티가 확연히 났지만, '중간계'는 실사 촬영물처럼 자연스럽게 전달된다.
"'나야, 문희' 때와 비교하면 노력의 양은 엄청나게 줄었고, 퀄리티는 훨씬 높아졌다. 움직임 자체가 다르다. 이 기술은 분명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AI는 창작의 영역을 건드릴 수는 있어도 지배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훌륭한 도구가 등장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결국 감정은 인간이 전달하는 것이니까."라고 그는 덧붙였다.
네티즌들은 'AI 기술 발전 정말 빠르네요. 영화 퀄리티가 실사 같아요!', '인간의 감성이 AI를 뛰어넘는다는 말이 와닿습니다. 앞으로가 기대돼요.', '6억으로 이런 퀄리티를 뽑다니 놀랍네요. 감독님 최고!' 등 놀라움과 기대감을 표현하며 AI와 인간 창작자의 시너지를 응원하는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