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R, 시총 10조 돌파... K뷰티 판 흔드는 '뷰티테크' 시대 활짝
“이제 뷰티는 기술 전쟁이다!” 업계 관계자의 말처럼 K-뷰티의 현주소는 기술 경쟁력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APR이 시가총액 10조 원을 돌파하며 화장품 업계 1위로 올라서자, 한국 뷰티 시장의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기존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장악하던 전통적인 화장품 시장 구도가 흔들리며, 기술 중심의 '뷰티테크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는 것이다. APR은 '메디큐브', '에이프릴스킨', '글램디' 등 다양한 브랜드를 통해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를 결합한 신선한 시도로 시장에 큰 충격을 안겨줬다.
이는 단순히 제품력과 마케팅 경쟁을 넘어, '기술력'이라는 새로운 경쟁 축을 형성했다는 점에서 'K-뷰티 빅리셋'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제품, 기술, 콘텐츠가 융합된 새로운 판이 짜이며, 10년간 지속된 브랜드 중심의 구도가 깨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기존 강자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국내 소비 부진과 중국 시장 정체, 온라인 트렌드 변화에 대한 느린 대응으로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APR은 MZ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 플랫폼에서 빠르게 확산되며 격차를 벌리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의 양상도 뚜렷하다. 과거 동아시아와 동남아 중심이었던 K-뷰티의 인기는 북미, 유럽 등 선진 시장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APR의 미국 시장 매출 급증과 일본 주요 채널 상위권 진입은 '한류 브랜드 수출'에서 '테크 기반 글로벌 브랜드'로의 진화를 보여준다.
과거 OEM·ODM 중심의 제조 생태계에서 벗어나 R&D, IP, 테크 플랫폼이 핵심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APR의 성공은 기술 차별화에 성공하며 구조적 한계를 돌파한 사례로, 한 전문가는 “APR은 ‘화장품 회사’가 아니라 ‘테크 기업’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물론 치열해진 글로벌 경쟁에서 브랜드 신뢰, 품질 일관성, IP 보호 등 과제는 여전하다. 또한 원료 가격 상승, 물류비 부담, 환경 규제 강화 등 현실적 변수도 존재한다. 지속 가능한 기술력과 글로벌 감각을 갖춘 브랜드만이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K-뷰티의 다음 10년은 '테크놀로지'와 '콘텐츠'에 달려있다. 제품과 감성 마케팅만으로는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소비자들은 실효성, 사용 경험, 브랜드 스토리까지 꼼꼼히 검증한다. APR이 보여준 10조 원의 성공은 K-뷰티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에 불과하다.
누리꾼들은 'APR 대단하다, 기술력으로 K뷰티 역사를 새로 쓴다', '이제 화장품 회사가 아니라 테크 기업이라고 봐야 할 듯', '아모레퍼시픽, LG도 이제 정신 차려야 할 때'라며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