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찰리 커크 추모 논란, 최시원·선예 등 연예계 파장
극우 성향의 정치 평론가 찰리 커크 사망 소식에 국내 연예인들의 추모 행렬이 이어지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단순한 애도라고 주장하지만, 특정 사상을 옹호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슈퍼주니어 최시원은 지난 11일 자신의 SNS에 'REST IN PEACE CHARLIE KIRK'라는 문구와 함께 찰리 커크의 사진 및 성경 구절을 게재했습니다. 찰리 커크가 과거 성소수자 혐오 및 인종차별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의 게시물은 거센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팬들의 '단순 추모'라는 옹호에도 불구하고, '극우 인물 추모는 사상 동조'라는 비판이 거세지자 결국 게시물을 삭제하고 정치적 성향과 무관한 비극적 죽음에 대한 애도였다고 해명했습니다.
원더걸스 출신 선예 역시 16일 SNS에 성경 구절과 함께 찰리 커크 추모 영상을 공유했으나 곧바로 삭제했습니다. 이 외에도 배우 진서연, 최준용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는 글을 남겼으며, 유튜버 해쭈는 추모 게시물에 '좋아요'를 눌렀다가 사과문을 게시하는 등 연예계 전반으로 논란이 확산되는 양상입니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추모의 진정성과 파급력에 있습니다. 연예인의 행동은 종교적 신념이나 인간적인 애도의 표현일 수 있으나, 혐오 발언으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한 인물에 대한 추모는 공인으로서 단순 애도를 넘어선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될 여지가 큽니다. 일부 네티즌은 '비극적 죽음을 애도하는 마음은 존중해야 한다', '공인도 개인의 신앙과 감정을 가질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반면, '추모 대상이 극우 인사임을 몰랐을 리 없다', '공인이라면 발언의 맥락과 파급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습니다.
애도는 개인의 자유이지만, 그 자유는 영향력이 큰 만큼 더 큰 책임과 검증을 요구받습니다. 공인의 발언은 개인의 자유일까요, 아니면 대중 앞에 선 이들의 검열 대상일까요. 이번 논란은 '공인의 자유와 책임'이라는 오래된 질문을 다시 한번 던지고 있습니다.
최시원은 슈퍼주니어의 메인 댄서이자 서브 보컬로 활동하며 오랜 기간 글로벌 팬들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그는 배우로서도 꾸준히 연기 활동을 이어오며 다재다능한 매력을 선보였습니다. 또한, 최시원은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하며 선한 영향력을 펼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