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일제강점기 호랑이 멸종 역사 소환하며 화제
넷플릭스 시리즈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과거 일본의 가해 역사를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해외 틱톡커가 '케데헌'을 시청한 후 한국의 호랑이 역사에 대해 알아보던 중, 과거 일제가 한국 호랑이를 멸종시켰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는 내용의 영상을 공유했습니다. 이 영상은 18만 개 이상의 '좋아요'와 12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2천여 개의 댓글이 달리며 과거 일본의 잔혹한 역사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실제로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은 한국 호랑이를 '해수(害獸)'로 규정하고, 1917년부터 조직적으로 토벌 작전을 벌여 한국 호랑이의 멸종을 초래한 역사가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K-콘텐츠를 통해 다시금 조명받고 있습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OTT 플랫폼을 통해 일본의 가해 역사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라며, K-콘텐츠의 영향력을 강조했습니다. 앞서 애플TV+의 '파친코'는 강제징용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을 다루며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비극을 알렸고, 넷플릭스의 '경성크리처'는 1945년 일제강점기 배경에 731부대의 생체 실험 만행을 그려내기도 했습니다.
서 교수는 '한국 콘텐츠의 세계적인 흥행이 일제강점기 일본의 만행을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K-콘텐츠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 아시아의 역사가 제대로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서경덕 교수는 한국 홍보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해외에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그는 특히 동해 표기, 독도, 위안부 문제 등 역사 왜곡에 대응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왔습니다. 이번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례처럼 K-콘텐츠를 활용하여 역사적 사실을 알리는 데에도 힘쓰고 있습니다.